
전임상 연구는 약물의 약리활성 및 독성에 관한 시험을 수행하게 됩니다. 그 약물이 체내에서 어떻게 흡수, 분포, 대사, 배설(ADME, Absortion-Distribution-Metabolism-Excretion)을 하게 되는지 규명하는 약물통태시험을 진행합니다. 이러한 시험에는 약리시험, 약물동태시험, 독성시험이 있습니다. 1. 약리시험 (Pharmacology) 활성과 작용기전을 밝히기 위해 in vitro에서의 배양세포 혹은 효소계를 이용하거나, in vivo에서의 동물모델을 이용합니다. 초기연구단계에서 여러 수용체에 대한 특이성 (Specificity)과 효소에 대한 활성 (Activity)에 대한 평가를 선진행한 후, 세포에 미치는 영향 및 활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어서 그 물질..

산업의 현황을 보고 향후 발전가능성을 논할 수 있는지가 판단이 됩니다. 여러 산업들의 발전을 이루는 것보다 제약산업의 발전은 좀 더 두드러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나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코로나 팬데믹과 같은 특수 상황에서 의약품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시장까지 확대되어 의약품 시장의 확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1. 국내 제약산업 현황 2022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28조 9,503억 원으로 2021년 생산실적 25조 4,906억 원에 대비하여 13.6%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참고로 2018년도는 21조 1,054억 원, 2019년도는 22조 3,132억 원, 2020년도는 24조 5,662억 원으로 지속적인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의약품..

제약산업은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이어져오다 1970년대부터 비약적인 발전을 하기 시작한 산업입니다. 현재 다양한 의약품 허가 등록되어 있고, 수많은 제약사들이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의약품을 만드는 것에서 이제 글로벌 의약품을 연구하고 제조, 판매하는 제약산업 전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1. 제약산업 (Pharmaceutical industry)의 개요 제약산업은 약사법과 제약산업 육성 및 자원에 관한 특별법에 정확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2조에 따르면, 약사법 제2조 제4호에 따라 의약품을 연구개발, 제조, 가공, 보관, 유통하는 것과 관련된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의약품이란 약사법에 의해 대한민국약전에 실..